IT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초고속망을 통한 인터넷 보급에 힘입어,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사무실 중심으로 구축되던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내의 디지털 전자기기로 확산되어 가면서 홈 네트워크 산업과 관련기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홈 네트워크란 정보의 처리, 관리, 전달 및 저장에 있어, 가정 내에 설치되어 각종 계산, 관리, 감시 및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들을 연결하고 통합할 수 있게 해주는 구성요소들의 집합으로서 데이터와 통신의 공유 및 상호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2개 이상 장비(노드)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다. 홈 네트워킹은 Ethernet을 비롯한 전화선, 전력선, 그리고 무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통해 구현되며, 네트워크화된 가정내 디지털 정보기기들간의 기능공유, 데이터 공유, 원격 제어 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터넷 액세스와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홈 컨트롤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비롯하여 기타의 네트워크화된 장비에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분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 네트워킹은 새로운 유무선 연계 통합시스템이 구비되고 재택근무 등 개인화, 가정화되기 시작한 생활 환경의 변화에 따라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기업정보화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자 종래의 개별화된 제품에서 벗어나 복합 다기능화된 새로운 형태의 제품으로 각종 정보기기, AV시스템, 가전제품들이 연계된 통합 시스템을 제시하여 소비자 욕구에 부응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소비자 환경에서는 초고속망이 가정내로 급속히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복수 개의 PC 설치와 함께 디지털 가전기기의 구입이 증가됨에 따라 다양한 유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화가 요구되기 시작하였다. 결국 각 개인의 서비스 품질 요구 증대와 개인의 정보화 능력 향상은 홈 네트워킹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였고, 이는 보다 나은 생활환경을 지향하는 인간의 욕구가 정보화사회라는 환경변화와 정보인프라의 조기 구축 등에 힘입은 결과라 할 수 있다. 2. 홈 네트워크 기술 동향 홈 네트워킹은 PC, 이동전화, 디지털TV, 개인정보단말(PDA), 게임기 등 가정 내의 정보기기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고 광대역 통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뿐 아니라 정보기기 사이의 통합과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홈 네트워킹의 기본 구조는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홈 게이트웨이, 전화선·전력선·무선 등 가정 내 통신망, 정보기기를 제어하며 상호 연동시키는 미들웨어, 홈 네트워킹 기능이 추가된 정보기기 등으로 구성된다. 홈 네트워킹 기술은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선기술로는 전화선, 전력선, 이더넷, IEEE1394, USB등이 있고, 무선에는 IEEE802.11x 계열의 무선LAN, HomeRF, Bluetooth, UltraWideBand(UWB), Zigbee, HiperLAN 등이 대표적인 기술이다. 아직까지는 IEEE1394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식이 개발 방향을 주도하고 있으며 가전기기의 연동 표준화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볼 때 이동단말 기기의 확산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솔루션이 부각됨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서의 적용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가. 유선 홈 네트워킹 기술 1) Ethernet IEEE 802.3 표준에 따른 네트워킹 기술로서 데이터 통신에서 이미 오래전에 검증을 받은 LAN기술이다. 기업 네트워크를 비롯한 홈 네트워크의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속도가 빠르고(현재 10Mbps 및 100Mbps) 안전성과 높은 신뢰성 그리고 무엇보다 타 경쟁기술보다 저렴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단말장치들은 CAT-3 혹은 CAT-5의 UTP(unshielded twisted pair)선이나 동축 케이블과 연결하고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현재 1,000Mbps 전송속도의 IEEE 802.3a가 표준화 완료 상태에 있으며, 이 기술을 이용한 장비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의 신형 PC들이 Ethernet 카드나 마더보드위에 Ethernet LAN을 장착하고 있는 가운데, 소비가전 벤더들도 Ethernet을 임베디드시킨 셋톱 박스, PVR(Personal Video Recorder), DVD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콘솔, 디지털 오디오 수신기 등을 시장에 내놓고 있다. 2) HomePNA 홈 네트워크의 백본 기술로 대두되고 있는 HomePNA는 기존의 댁내 전화선로를 이용하여 정보통신 기기들을 하나의 망에 연결하고 허브나 라우터 등의 별도 장비 없이도 LAN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현재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10Mbps인 HomePNA 2.0이 표준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송률 향상과 QoS(Quality of Service)를 강화시킨 128Mbps의 HomePNA 3.0이 발표되었는데, 2004년 중반 경에는 HomePNA 3.0을 사용하는 선도제품이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기존의 댁내 전화회선을 사용한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유선 홈 네트워킹 기술 가운데 비교적 안정적인 위치에 있기는 하나 최근 경쟁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무선계 기술과 거의 맞먹는 가격과 사용상의 편이성, 보안 및 QoS 문제 등에서 확실한 해결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3) PLC(Power Line Carrier) PLC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포설된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신호를 100KHz~30MHz의 고주파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고, 수신시에는 고주파 필터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서 데이터 전송에 활용된 것은 이미 20년 가까이 된다. 저속(60bps)의 X-10 플랫폼이 초기 제품으로 출발하였으나 느린 속도 때문에 단방향이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제한적이었다. 최근에는 HomePlug 1.0이 2001년 말에 선보인 이래 2003년초에 열린 CES에서 버전 2가 재설계되어 출시되었으며, 차세대 스펙인 HomePlug AV이 개발중이다. 이 표준은 HDTV 및 SDTV 포함해서 데이터와 멀티스트림 엔터테인먼트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으며, 제품군은 2004년 말이나 2005년 초에 시장에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기술은 아직까지 Etehrnet이나 무선계 기술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편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QoS 문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가전제품이나 데이터 전송분야를 지원하는 편에 속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4) IEEE 1394 FireWire라고도 하는 IEEE 1394는 AV기기의 디지털화와 멀티미디어 환경 구비에 힘입어 대두된 직렬 버스방식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기술로서 고속의 실시간 데이터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핵심기술이다. 최대 63개의 단말기 접속이 가능하며, IEEE 1394a의 경우 4.5m거리에서 최대 400Mbps까지 그리고 IEEE 1394b는 100m 거리에서 800~1,600Mbps급의 전송속도로 통신할 수 있는 표준이다. 네트워크 전송 표준으로서의 IEEE 1394의 주된 장점은 가전 산업과 PC 산업이 모두 이를 차세대 데이터 전송 표준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데 있다.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VCR, 그리고 고용량 데이터 저장 장치들은 이미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결합하고 있으며, 조만간 소비자용 PC에서도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술은 동일한 실내에서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나 혹은 댁내나 다세대 주택내의 백본 기술로서 실질적인 응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5) USB(Universal Serial Bus) USB는 HID(Human Interface Device)로서의 특성과 주변 장치와의 용이한 연결, 충분한 IRQ(interrupt request) 자원 그리고 PNP(Plug and Play) 기능이 지원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반면, 낮은 전력 공급원과 상대적으로 높은 CPU 점유율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12Mbps 지원의 USB V1.0과 480Mbps 지원의 USB V2.0으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USB 제품들은 1.1 규격에 맞춰 제작된 것이다. 6)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및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와 차세대 HDMI는 디지털 상호연결장치로서 HDCP(video over DVI 및 video and audio over HDMI)를 사용하여 보안성이 뛰어난 비압축 전송을 할 수 있다. 이들 기술은 안정적인 전송효율을 보이며 고정밀도의 컨텐츠(HDMI로 8개 채널을 포함) 전송이 가능하다. PC 모니터를 비롯하여 최근의 많은 HDTV 모델들에 DVI가 탑재되고 있다. IEEE1394와 더불어 A/V 장비 네트워킹의 솔루션으로 경쟁하고 있다. 나.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 1) IEEE802.11x 케이블 배선이 필요 없고, 이동시에도 기반 LAN에 접속가능한 통신 형태로서 LAN 구성이 신속하고 망구조 변경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로 부상되고 있다. 802.11b, 802.11a, 802.11g, 802.11e 그리고 802.11i 등 다양한 무선기술 표준이 있으며, 이 중에서 802.11b는 HomeRF와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의 표준 경쟁상태이나 최근들어 빠른 속도와 대량의 제품출하로 가격면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기존의 2Mbps 규격을 발전시켜 내놓은 11Mbps급 제품들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실용화면에서는 가장 앞서가고 있다. 호환성 인증을 통해 여러 회사 제품들을 혼합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에 대해서도 보장해 주고 있다. 2) HomeRF(Home Radio Frequency) PC, 주변기기, 통신, 소프트웨어, 반도체 산업 등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들에 의해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기술로서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1.1 규격에 대한 표준이 완료된 상태이다. 적외선이 아닌 RF방식을 사용하여 가정내의 네트워크 구축을 타겟으로 삼고 있으나 1~2Mbps의 다소 느린 속도와 접속 기기 수에 따라 속도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으며, 신규격에서 10Mbps급의 전송 속도로 향상할 계획이다. 802.11b나 블루투스와 마찬가지로 2.4GHz 대역을 사용하며 127개까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3) Bluetooth 약 10m 이내의 거리에서 다양한 기기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저전력, 저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초기에는 적용범위의 제약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기능이 확대되어 이동전화 단말기나 PDA 등 개인 통신기기, 헤드셋/키보드/스피커/프린터와 같은 PC 주변기기, 유선으로 PC에 접속된 기기들간의 개인용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 구축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의 대표주자중 하나로서 현재는 10m 이내의 기기들 사이에서 최대 1Mbps 전송속도를 보이고 있으나 10Mbps 버전이 개발중이며, 유선에서의 USB기능을 대체하거나 모바일 제품에서의 새로운 응용이 예상된다. 다만 상대적으로 고가인 모듈 가격이 광범위한 실용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핸드셋이나 헤드셋 분야에서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4) UWB(Ultra-wideband) 주로 군용 레이더나 원격 탐지 등의 특수 목적으로 이용되었고 2002년 2월 FCC에서 상용 기술로 허용되었다. 통신 분야의 응용은 초기 단계로서 VTR 및 DVD 플레이어 등 무선 동화상 전송을 위한 UWB 칩세트 평가 샘플이 발표되었으며, 2003년 이후에는 가정에서의 무선 동화상 전송용으로 100Mbps급 칩의 개발이 예상되고 있다. 가까운 장래에 홈 네트워킹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기대하기는 어려우나 장기적으로는 주요 벤더들의 표준화와 적용노력에 따라 AV 기기들에 대한 네트워킹에 어느정도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다. 미들웨어 동향 1)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제안한 미들웨어 솔루션으로서 기존의 IP 네트워크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간의 제어와 상호운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웹 기술에 의한 기기간 제어모델을 용이하게 구현함으로써 H/W나 S/W 및 OS와 무관하게 동작이 가능하고, HTML을 이용하므로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네트워크 접속 기기 간의 데이터 공유 기능을 위해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와 같은 새로운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PC를 중심으로 한 가정 내 각종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ISA, PCI, VESA, USB등 모든 인터페이스와 네트워크(IP등)를 지원하며, Ethernet, Home RF, Home PNA 등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2) Jini Java를 기반으로 하여 LAN, xDSL, 모뎀, 전력선, 무선 등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접속된 가정내 디지털 장비나 S/W를 동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Sun Microsystems사가 제안하였다. 단순성과 고신뢰성의 확보, 효율적인 제어구조를 지향한 확장성 부여 등을 특징으로 하며, P&P 기능에 의한 간단한 시스템 구성과 실행 코드의 이동성에 의한 가변성, 그리고 기존 IP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확장성 및 Java 연관 제품과 시스템간 호환성 확보 등이 장점이다. 그러나 느린 수행속도와 과다한 메모리 용량 차지 등으로 시스템 단가가 높아진다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 3) HAVi(Home Audio Vidio interoperability) Sony가 제안한 홈 네트워크용 미들웨어 솔루션으로 IEEE1394 기술을 채택하여 AV기기간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과 상호 호환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P&P 지원 및 AVC(Audio Visual Control) 커맨드의 사용과 함께 미래 기기도 지원해 주기 위한 DCM(Device Control Module) 개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조사나 기기종류에 무관하게 모두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자바 바인딩을 통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지원하고, 제어 신호 및 콘텐츠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AV 장치간의 상호 기능성을 제공해 주는 소비가전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고가인 점이 제약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라. 게이트웨이 기술 홈 네트워킹 구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기술 중 하나가 게이트웨이 부분이다. 홈 게이트웨이는 여러가지 유무선 홈 네트워크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의 댁내망(LAN) 기술과 xDSL, 케이블, 광 전송장치 및 위성 등 하나 이상의 액세스망(WAN) 기술을 상호 접속하거나 중계하고 그 상위 계층에 미들웨어 기술을 부가함으로써 가정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로 정의할 수 있다. RG(Residential Gateway)는 모뎀, 라우터 그리고 스위치 기능을 통합시켜 놓은 디바이스로서 기본적으로 가정내 모든 기기들이 외부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라우터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의 홈 네트워크 기술간의 프로토콜 변환, 원격 관리, 업그레이드 및 서비스 작동 등을 처리한다. 특히 외부 망과의 트래픽 분리를 통한 보안기능을 비롯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능, 저전력의 에너지 관리기능 등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아직은 제품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는 않으나 ADSL 모뎀과 라우터 및 무선액세스 포인트가 통합된 초기 제품(2Wire의 HomePortal 100 Series)이 선보이고 있다. RG의 기본적인 빌딩 블록은 프로세서, 메모리(RAM과 플래시), 디지털 케이블 모뎀, 홈네트워킹 칩 셋 그리고 관련 소프트웨어들로 구성된다. RG와 관련된 표준 정의 단체로는 ISO/IEC 산하 JTC1의 SC25 WG1과 OSGi(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 그리고 UPnP Forum이 있다. 3. 홈 네트워크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전세계 홈 네트워크 시장 현황과 전망 홈 네트워크 시장은 초고속(broadband) 인터넷 보급률 성장과 비례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 환경에서 앞서가고 있는 북미와 서유럽을 중심으로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전세계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수가 2002년에 2,900만 세대에서 2006년에는 9,400 만 세대로 증가할 것으로 볼 때, 홈 네트워크 설치 가구수도 각각 1,200 만 가구에서 6,800 만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림 3)에 따르면 댁내 기기를 제외한 홈 네트워크 시장은 2001년 21억 달러 규모에서 2007년에는 386억 달러 규모로 대폭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홈게이트웨이와 홈서버 시장은 디지털 홈 장비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이 예상되며, 2001년 7억 달러에서 2007년에는 230억 달러로 78% 이상의 고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장은 앞으로 현재의 PC-to-PC간 네트워킹에서 확대되어 디지털 A/V 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정보가전들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홈 네트워킹 부문으로의 발전이 예상된다. 홈 네트워크 산업계는 홈 네트워크 장비설치를 위해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과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작업을 활발히 진행하여 오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홈 오토메이션/컨트롤 등과 같은 첨단 홈 네트워크의 기반을 마련하는 등 최근 들어 성장을 위한 토대를 서서히 준비중 이다. 특히 2010년경에 정보가전이나 차량 내장형 단말기 등 PC 이외의 네트워크 가전 보급량이 1억 5,00만 대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디지털 TV와 휴대형 이동 단말의 급속한 성장은 홈 네트워크 성장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백색가전뿐만 아니라 오디오기기, TV, 비디오기기, 게임기기 등이 홈네트워크 대응 제품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집안 내부의 네트워크와 홈게이트웨이 등이 기본으로 설치된 홈네트워크 인증 주택이 출현하여 필요한 홈네트워크 제품들만 간단히 연결하는 주거환경으로 변화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와 함께 주요 유무선 사업자들이 신규 수익원 확보의 일환으로 포화상태에 이른 음성통화 및 초고속 인터넷 사업보다 네트워크화된 가정을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양방향 디지털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 홈 네트워크 시장의 꾸준한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홈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지도는 아직까지 낮은 편이며, 다양한 표준경쟁과 복합기술, 호환성 부족 등이 시장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나. 홈 네트워크 업체 동향 세계 홈 네트워킹 초기시장은 네트워크 기능의 구현을 위한 기술적 제휴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즈니스 제휴 등 업체간 다양한 제휴와 함께 경쟁이 상호 공존하는 시장 구도를 보이고 있다. 즉, 기술적 제휴로는 기기간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 제정을 위해 업체간의 협의체를 구성함으로써 전송매체를 선정하고 통신규약(미들웨어)을 공동으로 개발하거나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유무선 인프라 사업자간의 서비스 제휴나 부가서비스(보안, 위성방송 등) 개발을 위한 업무 제휴, 컨텐츠나 애플리케이션의 공동 개발을 전개하는 등 다각적인 형태의 사업제휴가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경쟁관계의 정보가전 업체간에도 국내 표준제정이나 상용화를 위해 제휴과 경쟁이 공존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 관련 제품들이 2003년 초 CES에서 보여준 특징으로는, 세계적으로 유수한 가전업체들이 가정내 각종 기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품들을 선보였다는 점이다. 일례로 Garmin Int’l사의 위성 네비게이션 기능이 탑재된 PDA, Philips사의 portable & wearable MP3 플래시 메모리 플레이어와 디지털 홈 대시 보드, 삼성의 하드디스크 내장 캠코더 등을 들 수 있다. 4. 결론 및 시사점 인터넷 등을 통한 광대역 고속서비스의 확대와 개인 정보단말의 활발한 보급 그리고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기술의 급속한 진전 등으로 홈 네트워크 시장에 대한 전망과 기대감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2002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시장이 이루어지면서 홈 네트워크 관련 기술과 제품이 상용화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홈 네트워크 인증주택과 같은 체험 모델도 등장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유선 기반의 홈 네트워킹 기술들이 앞서가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무선 기반의 응용 기술들이 점차 안정화되고 합리적인 가격대를 형성하면서 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홈 서버 운용체계는 윈도CE 환경이 증가하고 있으나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시스템의 채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홈 네트워킹은 다양한 종류의 댁내 정보가전 기기와 주거환경을 고려할 때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즉, 기기간의 용이한 연결과 고속데이터 전송을 위한 공통의 접속규격, 기간망과 독립적인 작동하에서의 보안유지를 위한 게이트웨이 설치, 방송과 통신의 결합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 유무선 통신기술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처 기능 등이 필요하다. 최근 정보통신부가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홈 구축에 적극 나섬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대한 업계나 소비자의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과거 개별기능 위주의 단순 가전시장이나 정보단말 환경에서 한층 더 진화하여 복합 기능적이며 기능간 네트워킹화가 진전되고 방송과 통신이 IT 기술에 의해 융합되면서 홈 네트워킹을 통한 On-demand 서비스가 현실화되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홈 네트워크 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새로운 디지털 문화환경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소비자 주거환경에 따른 실수요적인 시스템 모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저가의 인터넷 정보가전 기기 보급과 더불어 서비스와 장비가 동시에 공급되는 등 소비자 지향의 시장전략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의 홈 네트워크 주거환경에서는 통신과 방송의 융합, 유무선 통합, 전력선 통신 확대 등 기존 영역들이 혼재하는 상황에서 이에 대비한 법·제도 정비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국내 디지털 홈 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관련 기술들에 대해 세계 시장을 목표로 한 표준화 작업이 이뤄져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댁내 유비쿼터스 환경구현을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개발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Compute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ize의 크기에 따른 영향 (0) | 2007.01.17 |
---|---|
TCP/IP Sliding Window (0) | 2007.01.17 |
TCP/IP Protocol Suite (0) | 2007.01.17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0) | 2007.01.17 |
서브넷마스크/서브넷팅 (1) | 2007.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