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bby/電影

장예모와 그의 영화 인생

by 시앙라이 2008. 1. 23.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양인들에게 중국에 대한 이미지를 물으면 많 은 사람들이 만리장성, 천안문. 모택동 등과 함께 장예모. 공리를 이야기 할 것이다. 이만큼 장예 모 감독의 영화는 서구에 잘 알려져 있다. 장예모 감 독의 영화가 서구인들에게 강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그를 세계적인 감독으로 인정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장 감독 영화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간략히 살펴 보고 그의 작품[인생] 에 투영된 역사적 배경과 그의 뛰어난 역사 해석을 살펴보자.

장예모 감독을 비롯한 베이징 영화대학 78학번들을 가리켜 제5세대 영화감독이라고 지칭하는데.이들 은 문화 대혁명의 비극을 체험한 세대들이었다. 8o년 대의 중국 지식인들은 문화대혁명이 끝난 뒤 폐허적 이고 절망적인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중국 역사에 대한 총체적인 재검토 작업을 벌였는데 이 러한 작업의 증심은 5.4운동 이후의 중국 현대사에 대한 재 검토였다. 즉 중국 현대사의 전개가 반외세 민족주의 혁명을 완수 했지만 반봉건의 과제는 완수하지 못했다는 인식이 점차 커져갔고, '중국에서 봉건주의가 사회주의의 옷을 입고 횡행하고 있다'는 표현이 나타날 정도 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파악한다면 중국 사회주의는 봉건적 사회주의라고 할 수 있고, 따라서 80년대 증국의 절실한 과 제는 반봉건 근대화(또는 현대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장예모 감독의 영화는 80년대 의 시대 이념을 강하게 담고 있다. 그에게 있어 증국 전통이란 청산해야 할 어둠의 기억, 청산해야 할 잔 재로서의 봉건 전통이고 반생명의 상징인 것이다. 또 한 그의 영화는 중국에 관한 서사라고도 말할 수 있 다. 왜냐하면 그의 영화에는 중국 현실과 증국 역사. 중국전통에 대한 해석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가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증국의 전통. 그 증에서도 증국의 봉건 전통이다. 국두, 홍등이 대표적으로 그 러하고 '붉은 수수밭', '귀주이야기'등도 봉건전통을 주요 쟁점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영화들 속에서 그 는 봉건 전통을 인간의 욕망에 대한 억압이자 반생명 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영화에 대하여 90년대 들어서서 많은 비판이 일고 있는데 장 감독 영화속 의 중국과 중국 전통은 구체적인 역사 현실 속의 그것이 아니라 추상적으로 우떤 것이고 현실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부분을 과장해서 중국 현실에 대한 한 상징으로 가공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서 새로이 시도한 영화가 [인생]이다. '이제는 예전같이 민속으로 물들이고 골동품이나 발굴하는 영화를 찍지 않고 중국 현대사 속 의 인생 체험을 바탕으로 중국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증국인들의 독특한 인생 철학이 담긴 영화를 만들겠 다'며 시작한 작품이 바로 이것이다.

[인생]은 1940년대부터 문화 대혁명 종결까지를 배경으로하여 굴곡 많은 중국 현대사 속에서 살아칸 한 가족사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작품들과는 다르다 그는 이 영화속에서 신중국 이후 비극의 역 사로 상징되는 ' 대약진 운동'과 문화 대혁명을 주요 매졍으로 다루고 있는데 주인공은 노름으로 가산을 탕진한 뒤 '그림자극'을 하면서 유랑생활을 하다가 국공내전을 맞고 고향에 돌아와서 대약진 운동을 경 험하고 문화 대혁명을 맞는다. 그리고 이러한 비극의 역사는 가족의 비극의 역사를 낳게 되어 주인공은 아 들과 딸을 잃게 된다.

영화에서 아들이 죽는 것은 대약진 운동 때이다. 1958년부터 시작된 대약진 운동은 사회주의 생산력 증대운동의 일환으로 '15년내에 영국과 미국을 따라 잡자'는 것이 주요 구호였다 이 운동의 절정기는 1958년과 1959년이었고 증국인들은 석탄과 식량, 철 강생산에 총 매진하였다. 이 기간 동안에 모든 기계 는 혹사되었고 사람들은 새벽부터 밤늦게 까지 중노 동을 하였다. 주인공의 아들은 학교 담장 밑에서 잠 을 자다가 변을 당한다. 이것은 어찌보면 단순한 사 고이고 우연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필 연이 내재되어 있다. 아들이 학교 담 장 밑에서 잠을 잘 수 밖에 없었던 것 은 대약진 시기의 밤낮없는 노동으로 인해 아들은 잠이 부족했기 때문이고 아버지는 억지로 깨워 학교를 보낸 결 과 아들은 학교 담장 밑에서 잠을 자 다가 변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딸은 문화대혁명 때 죽는다 딸이 해산을 맞아 병원에 입원하지만 그 병원에는 의사가 없다. 다들 반혁명분자로 몰린 것이다. 병원을 접수한 것은 문화 대혁명의 선봉대역 할을 했던 홍위병 학생들이었다. 딸은 출혈과다로 생 명이 위태로워지나 홍위병 학생들은 속수무책이다. 아버지와 사위는 반혁명분자로 몰려 비판을 당하고 있는 늙은 의사를 몰래 데려온다. 그러나 의사는 배 가 고파 만두를 너무 많이 먹은 나머지 실신해 버리 고 결국 딸은 죽고 만다. 이 역시 필연이 내재된 우 연이다. 사상이 반혁명적이라하여 모든 전문가들을 직장에서 내쫓았던 문화 대혁명 자체에서 딸의 죽음 의 근원적 원인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 시대의 역사적 비극이 존재할 때 대다수 민중은 그 역사적 비극과 직접적 관계에 놓이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은 것이 다. 장 감독이 [인생]에서 묘사하는 점이 바로 이러 한 간접적 은유의 형식이다. 대약진 운동과 문화 대 혁명이라는 중국 현대사의 두 비극을 다루되, 그것을 인간 삶의 우연같은 필연, 필연같은 우연이라는 그물 을 통해 거르면서 인간 삶의 한 형식으로 담담하게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만일 이 역사의 비극적 측면 을 치열하게 고발하고 응징하는 태도로 영화를 진행 시켰다면 아마도 무척 무미 건조하였을 것이다.

이와같이 [인생]은 국공내전의 대약진 운동, 문화 대혁명 등 파란의 현대사 속에서 그 역사만큼 파란의 개인사를 산 한 중국인의 기록이다. 그러나 장 감독이 [인생] 에서 궁극적으로 그리려 한 것은 그러한 개 인사의 경험을 동원하여 중국 현대사의 비극적 경험 을 고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차원 너머에 있다. 장 감독이 묘사하려 한것은 역사의 온갖 고난을 겪은 뒤 그것을 구체화하고 삶의 경험으로 소화시켜내는 중국 민중의 비극적 삶에 대한 응전력과 넉넉한 삶의 자세 이다. 영화 속의 중국 현대사는 그것을 드러내기 위 한 배경일뿐이다. 중국 민족만큼이나 20세기 세계사 의 온갖 역사적 경험을 겪은 사람들도 드물다. 그러 나 그에 못지 않게 고난의 현대사를 겪은 것이 우리 한국민족이다. 하지만 우리의 현대사를 다룬 우리 영 화들은 역사적 비극과 개인사를 직접적 관계 속에서 지나치게 자극적이고 치열하게 다루고 있어 일반 대 중들의 삶과는 유리되는 경향이 있다. TV드라마로써 공전의 대히트를 기록했던 [여명의 눈동자]나[모래시계] 등이 그러하다. 일반 민중의 삶 속에서 담담하게 역사를 관조하고 해석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춘 영화 인, 역시적 비극을 한 차원 높여서 현실의 매듭을 푸 는 단서를 제공하고 미래의 희망으로 승화시킬 수 있 는 영화를 기대해 본다.

'Hobby > 電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쿵푸팬더 (Kung Fu Panda)  (9) 2008.06.08
송(宋)가(家) 자매들  (4) 2008.01.23
주성치 서유기  (0) 2008.01.20
말할수없는비밀 피아노 배틀 영상  (1) 2008.01.18
<< 책상서랍속의 동화 >>  (0) 2007.01.23